반가워요:-]
먀리크 이지요.
또한번 저희 BLOG를 방문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날씨가 화창한게 헤헤 즐거워요.이웃님들은 오늘하루 어떤일 하시며 보내셧나요? !
이번에 얘기할 키워드는 저희 아내가 조울병이라고 하는데 혹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아닌지요? 이라는 것과 바늘근전도 이라는 것 이에요.
이제 준비되었으면 지금이순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가봅시다 :-ㅁ
나만의 시크릿! 저희 아내가 조울병이라고 하는데 혹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아닌지요? 이라는 것과 바늘근전도 이라는 것의 과대광고 논란?
관련 질병 | 조울증 |
---|
일반적으로 조증은 20대 초반에 많이 시작합니다. 조울병은 적절히 치료하면 2~3개월 정도 후에는 사라집니다. 그러나 증상이 사라졌다 하더라도 계속해서 일정 기간 동안 꾸준히 치료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히 치료 받지 않았을 때 조울병의 재발 가능성은 90%에 달합니다. 그러나 적절한 치료를 꾸준히 받는다면 대부분 정상적인 사회생활과 직장생활을 할 수 있으며 단지 일부(20~30%)만이 불안정한 기분이나 대인관계 장애, 직업이나 직장에서의 장애가 남습니다.
1) 검사의 준비
사용하는 바늘
동심형 바늘(외통지름 250μm, 내통지름 100μm)을 사용하여 그 바깥 대롱(접지되어 있다)과 속 대롱 간의 전위차를 검사대상 근육에 삽입하여 측정한다.
모니터링 방법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출력은 브라운관과 스피커 두 가지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파형 보는 법
주목해야 할 점은 3가지가 있다.
① 위상(phase) ; 몇 번 방향을 바꾸는가?
② 진폭(amplitude) ; mV order
③ 지속(duration) ; msec 단위이다.
EMG에서는 하나의 바늘로 다수(4~6개)의 운동단위 세포외전위를 검출하므로, 뇌파(EEG)처럼 주기성, 율동성이 없다. 세포내전위는 이완 → 수축 → 이완에서 -90mV → +40mV → -90mV로 변화하며, 그 몇 %가 세포외에서 포착된다고 알려져 있다.
2) 검사의 순서
① 우선 바늘을 삽입하였을 때의 전위변화를 관찰한다.
② 다음으로 안정 시의 전위변화를 관찰한다.
③ 다시 수축 시의 전위변화(최소~최대 수축시)를 관찰한다.
①, ②, ③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③이다.
삽입 시
① 정상
일시적으로 잡음 모양의 변화가 일어난다.
1~3mV, 100~300msec의 짧은 전위변화가 지속된 후 평탄해진다(전기적 침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② 이상
바늘을 찌를 때 활동이 연장된다. 특징적인 것이 2가지 있다.
a. 근육긴장성 방전(myotonic discharge)
바늘을 찌를 때 활동이 연장되며 동시에 진폭과 빈도(지속)가 서서히 증가하고 서서히 감소(waxing and waning)한다. 소리로 나타내면 급강하 폭격음(dive bomber sound) 모양이 된다.
질환 예(근육긴장성 질환에서 나타난다) :
• 근육강직(긴장성)성 퇴행위축
• Thomsen병(선천성 근육긴장증)
이들 질환에서는 근육이완장애가 나타난다.
b. 가성 근육긴장성 방전(pseudomyotonic discharge)
바늘을 찌를 때 활동은 연장되지만, a.와 같은 waxing and waning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질환 예 :
• 진행성 근육퇴행위축
• 다발근육염
• 신경근의 압박
안정 시
① 정상
막 내외의 전위는 안정화되어 있어 평탄하다(전기적 침묵).
② 이상
자발성 방전이 나타난다(앞뿔세포장애, 말초신경병증일 때).
이상 형태로는 섬유속 전위가 있다. 섬유속 전위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자발성 방전이 안정 시에 나타나는 근전도 소견을 말한다.
위상 : 다발성 polyphasic(5상성 이상)
진폭 : 일반적으로 높다
지속 : 일반적으로 길다
질환 예 :
• 앞뿔세포의 장애
앞뿔세포 1개는 상당히 많은 수의 근육섬유를 지배하기 때문에 앞뿔세포 1개가 장애를 받으면 섬유속 단위(운동단위)에서 근전도에 이상이 나타난다. 섬유속 전위는 특히 앞뿔세포장애로 나타난다. 섬유속성 연축은 밖에서도 육안으로 보이므로 근전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수의 수축시
① 정상
a. 최소 수축
우선, 아주 가볍게 힘을 주게 하여 약간 수축시키면 one motor unit(한 앞뿔세포의 지배)의 전위활동이 검출된다. 이것을 운동단위 전위(motor unit potential : MUP)라고 한다. 정상인 경우에는 MUP의 하나하나가 각각 분리되어 나온다. 각각의 MUP는 2상성 내지 3상성인 경우가 많다.
b. 최대 수축
마음껏 힘을 주게 하면 주변의 근육섬유 전체가 수축하여(흥분하여) 많은 MUP가 중복되어 나타난다. 무리를 이룬 MUP의 상태를 간섭파(interference pattern ; grouping of MUP)라고 한다. 개개의 MUP는 구별을 할 수 없으며 기선은 숨어버린다.
② 이상
a. 신경성인 경우
간섭파가 감소한다. Motor unit가 감소하기 때문에 개개의 MUP를 구별할 수 있게 되며, 최대 수축시에도 기선이 보였다 안 보였다 한다.
또 각각의 MUP 진폭이 커진다. 5mV 이상인 것을 giant spike라 하며, 신경근의 압박 등에서 나타난다. 신경이 변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신경세포가 다시 지배하고, 또 하나의 motor unit에 속하는 근육섬유의 수가 늘어난 결과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
b. 근원성인 경우
간섭파가 그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낮은 전위가 된다. 즉 진폭이 낮은 것이 특징이며, MUP가 중복된다. 이것은 단일운동신경에 의해 지배를 받고 있는 근육섬유의 장애 정도가 각각 다르므로 흥분이 빗나가 다상성(polyphasic)이 되고, 근육 자체가 장애를 받아 전기적 활동이 저하된 결과 low amplitude(진폭), short duration(지속)이 되는 것이라고 해석되고 있다.
표 6-5 : 신경성 MUP와 근원성 MUP의 비교
구분 | 위상 | 진폭 | 지속 |
---|---|---|---|
신경성 MUP | polyphasic(5상성 이상) | high amplitude 2~5mV | long duration 5~20msec |
근원성 MUP | polyphasic | low amplitude 0.1~0.3mV | short duration 1~4msec |
이 포스팅은 저희 아내가 조울병이라고 하는데 혹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아닌지요? 이라는 것과 바늘근전도 이라는 것 에 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지식을 쌓으셨나요?
오늘 하루 성공적인 하루 되셔요
기억해주세요. 먀리꾸 이었습니다.
씨유레이러~
안뇽~
댓글